▲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65~74세 59.6%가 장래 근로를 희망했고, 75~79세는 39.4%로 집계됐다. 이는 10년 전보다 11.9%p, 11.8%p 각각 증가한 수치다.

65세 이상 고령층의 근로 희망 비율이 10년 전에 비해 1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지난 16일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냈다. 통계청은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약 700만명)의 고령층 진입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대응을 위해 65세 이상 고령자를 65~74세, 75세 이상으로 세분하여 지난 10년간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고령자와 관련된 많은 자료가 65세 이상을 기준으로 작성되고 있으나 고령자를 65~74세, 75세 이상으로 세분화해 인구‧가구, 건강, 노동·일자리, 소득, 참여, 노후 부문별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봤다.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65~74세 59.6%가 장래 근로를 희망했고, 75~79세는 39.4%로 집계됐다. 이는 10년 전보다 11.9%p, 11.8%p 각각 증가한 수치다.

고령자 인구 비율 항목에서 2037년 7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전체인구의 16.0%로, 65~74세 인구(15.9%)보다 많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앞으로 생존 기간과 관련해 2021년 65세 기대여명(여생)은 21.6년, 75세 이상은 13.4년으로 조사됐다. 이는 10년 전보다 각각 2.2년, 1.6년 증가한 것이다. 작년 기준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65~74세는 32.8%, 75세 이상은 18.9%이었다. 10년 전보다 9.9%p, 5.2%p 각각 증가했다.

소득 출처와 관련해 2021년 65~74세는 근로·사업소득(54.2%)이, 75세 이상은 연금·퇴직급여(42.4%)가 가장 높았다. 2021년 65~74세, 75세 이상의 공적연금 수급률은 각각 62.3%, 45.1%이었는데 이는 2013년보다 9.8%p, 27.0%p 각각 증가한 것이다.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해 2021년 기준으로 ‘상’ 또는 ‘중’이라고 생각하는 65~74세는 53.2%, 75세 이상은 41.0%였다. 10년 전보다 10.5%p, 6.1%p 각각 증가했다. 

인터넷이용률의 경우 2021년 60대 94.5%, 70대 이상은 49.7%로 조사됐다. 이는 2015년보다 34.9%p, 31.8%p 각각 증가한 수치다.

재작년을 기준으로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65~74세는 66.8%, 75세 이상은 42.7%이었다. 또 준비 방법으로는 공적연금이 가장 많았다.

아울러 장례방법에 대해선 2021년 기준으로 65~74세의 85.8%, 75세 이상의 75.8%가 ‘화장’을 택했다.

한편 지난 5월, 60대(60세~69세) 취업자 수는 446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대(20∼29세) 취업자 수(383만3000명)보다 더 많은 수치다. 5월 기준으로 60대 취업자 수는 2021년부터 3년째 20대 취업자 수를 웃돌고 있다. 지난달 60세 이상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8.1%였다. 60세 이상 인구의 절반 가량이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셈이다. 

참고로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일본의 경우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도달한 연수는 10년(1994년→2004년)이다. 프랑스는 39년(1979년→2018년) 걸렸다. 우리나라의 경우 7년(2018년→2025년 예상)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15년(2014년→2029년 예상)이다. 글=김수아 아카이브뉴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