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지명 ‘智異山’을 한자어 발음대로 읽으면 ‘지이산’이어야 맞는데 왜 ‘지리산’으로 읽는가?
 
지금까지 정확하게 해석된 적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 문제의 정답을 얻으려면 부득불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발달사에 착안하여야 한다.
 
우리말의 가을()’ ‘마을()’ ‘구이(가축에게 여물을 먹이는 그릇)’ 등을 함경도 방언에서 가슬’ ‘마슬’ ‘구시라고 한다. 중세 우리말에 원래 에 초성 [z]’이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 후세에 탈락되었는데 함경도 방언에서는 탈락되지 않고 그와 비슷한 발음 [s]’로 변하여 남아 있다. 이것이 가슬’ ‘마슬’ ‘구시의 내원이다.
 
한국어는 이런 고증이 훈민정음이 제작된 1445년 이후에 언문으로 쓰인 문헌에서는 가능하지만 언문 이전의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중국어는 80%이상을 차지하는 형성자(形聲字)를 통하여 이런 고증을 쉽게 할 수 있다.
 
형성자는 글자의 반쪽은 형, 즉 뜻을 나타내고 다른 반쪽은 성, 즉 음을 나타내는 글자를 말한다. 이를테면 형성자 물을 문()’에서 은 이 글자의 음을 표시하고 는 뜻을 표시한다(입으로 묻다). 이는 중국 어학자들이 많은 한자의 고대 음을 고증해내는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형성자 한자 중 음을 표시하는 성에 초성또는 가 있는데 이 또는 를 아래에 든 예와 같이 어떤 자는 읽고 어떤 자는 읽지 않음을 발견하게 된다:
 
(yi)/(tang), (yi)/(dai), (ye)/(di),
(yu)/tou), (yi)/(dai), (di)/耀(yao)
 
당연’ ‘’ ‘’ ‘’ ‘’ ‘耀등자의 초성에 원래 또는 가 있다가 후세에 탈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부류의 글자를 중국어 음운학에서는 이성모자(以聲母字)’라고 부른다.
 
필자가 우리말의 되놈을 한자 夷戎과 연계시키는 원인도 이성모자이기 때문이다. 왜 탈락되었는가는 그 설명이 복잡하므로 본문에서 할애한다. 상기의 예 중 (yi)/(dai)가 바로 본문에서 말하려는 왜 지이산지리산이라고 하는가의 예에 쓰려는 글자이다.
 
혀끝이 앞 입천정에 튕기는 음 는 연화(軟化)되어 쉽게 다른 음으로 변한다. 지금은 로 변한다. 예를 들면 맏이마디마지, 미닫이미다디미다지, 같이가티가치, 뎡거댱(停車場)정거장 등이다.
 
그러나 옛날에는 로 변하였다. 예를 들면 도댱(道場)도량, 차뎨(次第)차례, 모단(牡丹)모란, 계단(契丹)거란 등이다.
 
또한 고대 중국어의 받침이 몽땅 한국어의 받침으로 됐다. 예를 들면 (), (), (), () 등이다. 이렇게 볼 때 지디산지리산으로 발음되는 것은 규율에 부합되는 변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