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4월 28일 오후 서울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룸에서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故 이건희 삼성 회장 소장 문화재와 미술품 기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조선일보DB

동서고금(東西古今)의 진귀한 미술품·문화재 수만여 점을 한국 사회에 환원한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뜻을 기리기 위해 정부가 ‘이건희 미술관’ 신축(新築)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부지는 수도권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 24일 《문화일보》 인터뷰에서 “(미술관 건립은) 많은 사람이 작품을 감상하고 향유하기를 바란 기증자의 정신과 국민의 접근성 등 두 가지 원칙을 중심에 놓고 결정하겠다”며 “이르면 이달 안에, 늦어도 다음 달 초까지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할 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해 최종 방침을 정할 것이다. (전반적인 윤곽이 잡히는 시기는) 올여름이 지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황 장관은 별도의 미술관 신축 명분에 대해 “수장고가 부족하고, 추가 기증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축 시) 많은 국민이 쉽게 관람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확보하는 게 정부의 도리”라며 “수도권은 많이 볼 수 있는 접근성이 있는데, 미술관을 지방에 둘 경우, ‘빌바오 효과(스페인의 도시 빌바오가 구겐하임 미술관 유치를 통해 예술 도시로 부상한 것)’는 나타나지 않고 유치 경쟁 과열 등으로 엄청난 국고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신중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술관 부지로 수도권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음을 드러낸 것이다. 

이날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내달 황 장관이 이건희 미술관 신설 여부를 결정해 직접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문체부는 현재 이 회장 유족 측으로부터 문화재와 미술품 2만3000여 점을 기증받은 뒤, 미술관 신설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해 미술계를 비롯한 각계의 의견을 수렴 중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내부 회의에서 “(유족들이) 기증한 정신을 잘 살려서 국민이 좋은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별도 전시실을 마련하거나 특별관을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말한 바 있다. 같은 달 29일에는 미술계에서 ‘국립근대미술관 건립을 원하는 사람들의 모임’ 주비위가 결성돼 서울 송현동 부지와 정부서울청사 등에 이 회장 기증품이 들어간 미술관 신설을 제안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