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2일 통계청의 ‘2022년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139만7000명으로 전년대비 5만1000명 감소했다. 15~54세 기혼여성 810만3000명 중 미취업여성은 302만7000명, 이 중 경력단절여성은 139만7000명으로 나타났다.

연령계층별로 보면 30~39세 60만 명(43.0%), 40~49세 58만8000명(42.1%), 50~54세 15만2000명(10.9%), 15~29세 5만7000명(4.1%) 순으로 집계됐다.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가 42.8%로 가장 높았다.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42.8%), 결혼(26.3%), 임신·출산(22.7%), 가족돌봄(4.6%), 자녀교육(3.6%)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단절여성은 114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3만8000명 감소했다.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25.3%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많을수록, 자녀가 어릴수록 비중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