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석 결과, 2019년에는 농촌 일자리 창출 등 ‘농촌 공동체 유지’ 관련 언급량이 많았다. 2020년에는 공익직불제 도입과 함께 ‘환경보전’의 가치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에는 ‘식량안보’의 언급량이 매년 증가해 2022년에는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여론도 크게 달라졌다. 자료=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은 24일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온라인 언급량과 주요 키워드를 분석해 ‘FATI(Farm Trend&Issue)’ 5호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최근 4년간(2019~2022) 온라인 뉴스, 커뮤니티, 블로그, 카페,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등에 게시된 63만 건 이상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내 법률, 학계의 관점을 반영해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 유형을 ‘식량안보’, ‘환경보전’, ‘농촌 공동체 유지’ 3가지 유형으로 정의해 진행했다.

분석 결과, 2019년에는 농촌 일자리 창출 등 ‘농촌 공동체 유지’ 관련 언급량이 많았다. 2020년에는 공익직불제 도입과 함께 ‘환경보전’의 가치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에는 ‘식량안보’의 언급량이 매년 증가해 2022년에는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는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소비자 물가 상승, 국제 곡물 가격 폭등으로 전 세계 식량 산업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안보 대상으로서 농업의 가치가 주목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2-654765.jpg

같은 기간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여론도 크게 달라졌다. 2019년에는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와 관련해 의미가 모호하다는 부정 여론이 절반 이상이었지만, 2020년부터는 긍정 여론이 점차 증가해 2022년에는 65%에 달했다.

한편 농업·농촌의 미래 성장 산업화를 이끄는 주요 동력으로 손꼽히는 ‘스마트팜’과 로봇, 드론, 인공지능 등의 첨단 기술을 접목한 ‘푸드테크’ 관련 내용도 상당수 언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내용은 농정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종순 농정원장은 “최근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 등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농업의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며 “농정원은 이번 분석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우리 농업·농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