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NGO인 KARP대한은퇴자협회가 초노령사회에 들어서는 우리 사회, 정부, 기업에 경종을 울리기 위해 ‘배우며 벌며 사는 사회를 만들자’(배벌사)라는 내용의 Wake-Up Call 캠페인을 펼친다.
우리나라는 2024년 말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20% 이상으로, 초노령사회에 접어든다. 30년 이상 이어지고 있는 저출산 영향으로 젊은 인구가 급감하고, 베이비붐 세대가 노년층에 진입하면서 심각한 노령화 현실에 놓여 있는 것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50년간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은 20년 이상 증가했다. 1970년 62세에서 현재 84세로 늘어났다. 50, 60, 70+들은 1년에 4개월씩 수명이 늘어난 축복의 세월을 살아온 셈이다.
이렇게 대한민국 인구 5분의 1에 달하는 1000만 명 노년층은 우리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의 모든 면을 변화시켜갈 뿐만 아니라, 더 이상 뒷방으로 밀리지 않고 사회 주체로 재등장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접하게 됐다.
이는 당장 회복하기 어려운 심각한 저출산 기조 속에 1500만, 2000만 명으로 증가하는 ‘60, 70+’ 인구를 경제 주체로 받아들여 재활용해야 하는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사회 환경은 60, 70+에 너그럽지 않다. KARP대한은퇴자협회 측은 “기업은 나이 든 세대와 관련해 아주 강한 부정적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며 “그 모든 것 앞에는 ‘청년 실업’이라는 표면적 이유가 내세워지며, 정부도 이렇다 할 요구를 기업에 하지 않고 있다. 나이 때문에 ‘연령 차별’이란 레이블을 달고 시간당 7~80명씩 쏟아져 나오는 건강하고, 연륜과 경험으로 다져진 세대는 일자리를 찾아 거리를 헤매고 있다”고 밝혔다.
KARP 자체 회원 조사에 따르면, 고령층의 상당수가 일할 의지를 갖고 있으며 이들은 ‘생계형 일자리’를 찾고 있다.
이에 KARP대한은퇴자협회는 공적 연금+민간 기업형 일자리를 통해 150만 원 이상의 노후 소득을 제안해 왔다. 협회 측은 “정부가 주도하고, 기업이 참여하는 월 100만~120만 원 정도의 일자리를 제공해주면 공적 연금 수급액과 합쳐 기본적인 노후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며 “아울러 60, 70+세대가 평생 고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제공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단체는 또 “우리 사회에 보이지 않게 만연해 있는 연령 차별을 방지하고, 여러 세대(다세대)가 일하는 연령 포용 직장 문화를 정착시켜 가야 한다”고도 했다.
주명룡 KARP대한은퇴자협회장은 “배우며 벌며 오래 사는 사회 구축은 정부, 기업의 참여로 초노령사회 노인 빈곤율을 낮추고, 유휴 인력의 재활용으로 소비를 증진해 경제 사회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퇴직 후 사회 곳곳의 ‘인생 간이역’에서 행선지를 못 찾고 있는 한국의 50, 60, 70+ 세대에 배우며 벌며 사는 사회 구성원으로 삶에 희망의 지표를 열어주고 닥쳐온 노령화를 극복해 가기를 촉구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