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0) 

  峻 嚴

*높을 준(山-10, 2급) 

*엄할 엄(口-20, 4급)

‘역사의 준엄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다’의 ‘준엄’을 읽을 줄 안다고 뜻을 아는 것은 아니다. ‘峻嚴’이라 쓴 다음에 하나하나 분석해보자. 

峻자는 산이 ‘높고 험하다’(high and steep)는 뜻이니 ‘뫼 산’(山)이 의미 요소로 쓰였고, 오른쪽 것이 발음 요소임은 浚(깊을 준)도 마찬가지다. 이름에도 많이 쓰인다. 

嚴자는 산 언저리[厂․한]에 있는 바위를 힘들게 옮기고 있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바위’(a rock)가 본뜻인데, ‘높다’(high) ‘굳세다’(strong) ‘엄하다’(strict) ‘혹독하다’(harsh) ‘조심하다’(take care)는 뜻으로도 쓰인다. 후에 그 본래 의미는 따로 巖(바위 암, 岩은 약자)자를 만들어 나타냈다.

峻嚴(준:엄)은 ‘매우 높은[峻] 산의 바위[嚴]’가 속뜻인데, ‘매우 엄함’을 뜻하는 것으로 많이 쓰인다. 삶은 등산 같아서 잠시 쉬어 감은 몰라도 포기하면 끝장이다. 옛 선현 왈, 

“산에 오르기가 어렵고 험해도 

중도에 그침이 없으면, 

기필코 봉우리를 밟을 수 있으리라!”

登山不以艱險而止, 

則必臻乎峻嶺矣 - ‘抱朴子’

▶[첨언] 

한글을 깨친 다음에 

한자도 익혀야 하는 것은

숟가락을 배운 다음에 

젓가락도 배워야 하는 것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