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골목상권 매출과 이익, 고용인원이 모두 줄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골목상권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상반기 골목상권 현황 및 하반기 전망 조사'를 12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골목상권 자영업자의 78.5%가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작년 상반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 기준으로는 평균 21.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작년 상반기 대비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자영업자들은 그 이유에 대해, '코로나19 지속으로 골목상권 경기 악화'(58.2%)를 가장 많이 꼽았고, '같은 상권 내 동일 업종 간 경쟁 심화'(16.2%), '경쟁 상권 활성화로 해당 상권 침체'(15.7%) 순으로 응답했다.

골목상권 자영업자의 73.5%는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작년 상반기보다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순이익 금액 기준으로는 평균 17.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자영업자들은 '매출 감소'(56.6%), '원재료비 상승'(13.6%), '인건비 상승'(13.0%), '공과금 상승'(7.2%), '임차료 상승'(6.7%) 등을 순이익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한편, 자영업자의 영업비용 중 가장 큰 부담이 되는 항목으로는, '임차료'(41.7%), '인건비'(31.5%), '원재료비'(12.7%), '세금'(10.6%), '전기‧수도 등 공공요금'(2.7%) 순으로 나타났는데, 고용원 유무에 따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임차료(50.4%)를,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인건비(43.4%)를 가장 큰 부담으로 꼽았다.

골목상권 경기 악화는 일자리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조사에 응답한 자영업자의 33.6%는 작년 상반기 대비 고용인원이 감소했고, 62.9%는 변동이 없었다. 고용인원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3.5%에 불과했다.
고용원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면, 현재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의 44.9%는 작년 상반기 대비 고용인원이 감소했고, 49.6%는 변동이 없었다. 고용인원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5.5%로 나타났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중에서는 작년 상반기 대비 고용인원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16.3%였고, 83.7%는 고용인원에 변동이 없었다.
하반기도 매출액 감소 전망, ▲집단면역 ▲인건비 부담 완화 등 필요
골목상권 자영업자들은 올해 하반기 골목상권 경기도 어두울 것으로 전망했다. 응답 자영업자 중 과반인 65.3%가 올해 하반기 매출이 작년 하반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고, 금액 기준으로는 평균 11.7%의 감소를 전망했다.
자영업자들은 골목상권 경기 활성화를 위해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및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35.2%), '최저임금 인상 자제 등 인건비 부담 완화'(23.7%), '전기‧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부담 완화'(16.5%), '보조금 지급, 금융지원 등을 통한 신규 창업 활성화'(15.5%), '골목상권 업체 대상 사업 컨설팅 지원'(8.3%)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자영업자 손실보상제에 대해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 국가 정책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를 보전하기 위해 법제화 필요'(42.8%), '손실보상보다는 세금‧공공요금‧인건비 부담 완화 필요'(31.3%), '자영업자 손실 보상은 필요하나 법을 통한 의무화는 불필요'(22.1%), '손실 보상 불필요'(3.3%) 등의 의견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본 조사가 최근 델타 변이 등 코로나 재확산 이전에 시행됐음을 고려할 때, 현재 자영업자들이 느끼는 하반기 전망은 이번 조사결과보다 더욱 악화되었을 것"이라며, "신속한 집단면역 형성과 거리두기 완화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면서, 최저임금 인상 자제, 공공요금 할인‧지원 등 골목상권의 부담을 경감하는 정책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