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리호 발사대 인증시험. 사진=조선일보DB

연구개발 중심에서 외교·안보·산업 등 종합 정책 성격으로 확대되는 국가 우주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전담 연구기관이 설치된다.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유치 기관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을 선정하고, 초대 센터장에 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인 조황희 박사를 임명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우리나라가 우주선진국 대열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국내·국제 우주개발 이슈와 각국 상황, 우리나라의 현황 등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싱크탱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신설을 추진했다고 설립 취지를 설명했다.

미국 우주안보재단(SWF), 유럽 우주정책연구소(ESPI) 및 우주법센터(ECSL), 일본 우주포럼(JSF), 프랑스 전략연구재(FRS) 등 해외 선진국들도 국가 우주 전략과 정책수립을 위해 우주분야 전문가 집단의 지원을 받고 있다.

앞으로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는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등 정부의 주요 우주개발 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우주산업 육성 전략' 마련 등 민간에서 필요로 하는 정책 수립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민수-안보 우주개발 연계성 강화, 위성정보 활용 극대화 등 국가 우주개발 추진의 효율성 제고에도 역할을 할 예정이다.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에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뿐만 아니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의 전문가들도 참여한다. 다양한 출연연구기관 전문가들의 역량을 결집해 전문성과 연속성 확보를 통해 국가 우주정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 권현준 국장은 "우주개발은 장기간에 걸쳐 많은 예산이 투입되므로 도전적이면서도 치밀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를 통해 우리나라가 우주개발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연구개발·안보·우주외교·우주산업 분야 등의 내실있는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