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빚을 내 주식 투자하는 일명 '빚투' 현상이 2030 MZ세대를 중심으로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10~30대의 신용거래융자 신규대출은 38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전체 신용거래융자 185조9000억원의 20%가 MZ세대의 빚투에 투입된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MZ세대의 올해 연간 신용거래융자 신규대출 규모는 지난해 57조원을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MZ세대의 신용거래융자 규모는 2017년 23조6000억원, 2018년 30조8000억원, 2019년 32조3000억원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예탁증권담보융자 신규대출도 올해 상반기 3조5000억원에 달했다. 연간으로 지난해 5조3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신규 개설된 증권계좌는 청년층 명의가 1172만개로 전체 2115만개의 절반을 넘는 수치다.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은 대출기간에 따라 4∼8%, 예탁증권담보융자는 평균 7∼9%로 높은 수준으로, 거래수수료와 증권거래세까지 감안하면 자산가격 상승시 수익은 제한적이고, 하락시에는 큰 피해가 우려된다고 장 의원은 지적했다.
특히 신용융자는 주식가치 대비 담보비율(140%) 밑으로 하락할 경우 주식을 임의로 판매하는 반대매매의 위험이 있다.
장 의원은 "다른 세대에 비해 소득·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청년들이 무리하게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게 되면, 자산시장 변동에 따라 삶 자체의 불안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