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7일 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원자력 발전과 신재생에너지가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사장은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과학기술 정보에 입각해 보면 원자력 발전은 안전하다는데 동의한다"며 "탄소중립위원회에 의견을 제안할 때도 원자력 발전과 신재생에너지가 병행해야 순조로운 탄소중립이 가능하다고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사장은 "탄중위에 신규 원전 건설이 어렵더라도 소형 모듈 원전(SMR) 등 중소형 원자로를 잘 개발하고, 그 수단을 통해 가장 합리적으로 현실적인 탄소중립의 길을 가야 한다고 제안했다"고 덧붙였다.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이 월성 1호기 조기 폐쇄와 관련해 대통령,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압박이 있었냐고 질의했다. 이에 정 사장은 "당시 상황에 의해 종합적 판단에 따라 정부의 정책을 이행한 것"이라며 "누구의 강요나 사주가 아니다"고 말했다.
주 의원이 이어 "가동기간이 남았는데 조기 폐쇄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자, 정 사장은 "탈원전 정책은 정부의 정책으로, 한수원 사장은 정부의 정책 하에서 할 수 있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이라며 "제가 정책을 결정하는 게 아니다"고 답했다.
정 사장은 또한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외에) 그 뒤에 새로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하거나 그런 적 없다"며 "오히려 지난 3년 반 동안 수십 번 간담회를 열고 1700개 업체를 상담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수원 협력업체의 숫자는 오히려 늘었다"며 "한수원이 두산중공업에 주는 도급 대가도 변동이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