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기업들이 인건비 절감, 생산성 향상, 직원 안전까지 고려해야하는 시대를 맞아 '협동 로봇'이 대안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7일 발표한 '협동 로봇: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의 시작점'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들은 시스템 호환성 부족, 비용 부담 등을 이유로 스마트 제조를 추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기준 10인 이상 중소 제조기업 6만7000개 중 스마트 공장을 구축한 기업은 1만9799개로 약 30% 수준이었다. 그 중에서도 77.9%(1만5423개)는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고서는 중소 제조기업이 생산 효율성과 유연성 달성, 스마트 제조 전환을 점진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 '협동 로봇’에 주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협동 로봇은 전통 산업 로봇과는 달리 안전 펜스 등 방호 장치 없이 사람과 협업할 수 있을 정도로 안전성이 높다. 또한 크기가 작아 배치가 용이하고 조작이 편리하다. 비용 또한 대당 2000~6000만 원으로 전통 산업 로봇의 25~30% 수준으로 저렴하다.
보고서는 "협동 로봇은 범용성이 뛰어나고 의료·교육·문화 등 서비스업 등 타 산업으로의 확장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며 "국내 협동 로봇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원가 비중이 높은 핵심 부품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 확대를 통한 자체 기술력 확보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로봇 핵심부품과 소프트웨어 부문의 국산화율은 41% 수준에 불과하다.
이준명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주 52시간 근무제, 중대재해처벌법 등 정책적 변화뿐 아니라 코로나로 가속화된 제조의 무인화·자동화 흐름까지 국내 제조환경을 둘러싼 굵직한 변화가 잇따르고 있어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 제조기업들에게는 협동 로봇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는 클라우드를 통해 로봇의 필요한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독형 서비스형 로봇 기반의 협동 로봇을 중소기업에 제공하면서 협동 로봇의 보급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