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발표된 서울연구원의 보고서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과 가계소비 현황 진단’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값이 상승할 경우 가계소비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서울에서는 주택 가격이 높게 형성돼 있고,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의 자가(自家) 보유 비중은 전국보다 낮은 수준”이라며 “이들 가계가 ‘미래 주택 구매’를 준비하려고 저축을 늘리고 소비를 줄이는 성향이 나타나는 것이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서울은 다른 지역보다 주택 가격이 높게 형성돼 있어 주택을 보유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든다. 부채 부담이 있고 주택 소유 여부에 따라 자산 격차가 클 것으로 보인다”며 “주택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주택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이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면, 주가 불안정과 가계부채 부담 심화뿐 아니라 소비를 통한 삶의 질 개선도 담보할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2021년 1분기 서울의 아파트 매매 가격 지수는 115.2로 전국 수준을 5.2 포인트 웃돌았다”며 “2017년 4분기 이후 서울의 아파트 매매 가격 지수가 전국보다 가파르게 치솟으며 현재 전국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의 자산구조를 살펴보면,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 자산의 비중은 전국의 평균적인 수준보다 3.1%p 높은 74.9%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가계금융복지조사, 2020)됐다”며 “서울의 주택 소유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높지 않은데도 주택 가격이 비싸 자산 가치에 포함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보고서는 “서울 거주 가구의 주택 소유 비율은 48.6%이며, 주택 소유 가구 중 아파트 소유 비율은 64.4%다”라며 “2020년 서울의 가계 대출은 363조8170억 원에 이르고, 이 중 59.1%인 214조8657억 원은 주택 담보 대출로 발생했다”고 밝혔다.
〈서울의 아파트 가격을 자치구 수준에서 살펴봤을 때,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 가계의 소비는 줄어든다. 서울 거주 가구가 서울의 주택을 소유하는 비율은 48.6%(2020년 기준)로, 이 중 11개 자치구만 이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 점을 고려하면 서울의 주택 소유 비율은 낮은 편이고,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자산가치가 올라 소비를 촉진하는 경로보다 미래 주택 구매를 위해 소비를 줄이는 경로가 우세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
보고서는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면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가 소비를 줄인다는 것은 ‘처분 가능 소득’ 중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렸다는 의미”라며 “앞으로 공급 확대가 실현돼 가격이 내려가거나 대출 규제가 완화돼 주택 구매를 할 수 있을 때까지, 주거 안정을 보장해줄 수 있는 민간 임대 주택 시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제도나 임대 시장 조기 경보 시스템 등의 정책 프로그램이 보완적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