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LG CNS 유튜브 캡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최근 〈과학기술 기반 신(新)직업의 지원·육성 현황 및 개선 방향〉이라는 제하의 보고서를 발표, 과학기술 신직업의 특징과 현황 및 개선 사항들에 대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4년부터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을 지정하고 이 직업들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새로운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지정된 직업별로 담당 부서가 있으나 전체 직업에 대한 통합적인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하 2014~15년에 지정된 신직업들이다.

‘연구실안전전문가, 연구장비전문가, 연구기획평가사, 소셜미디어전문가, 감성인식기술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 과학커뮤니케이터, 미디어콘텐츠창작자, 3D프린팅운영전문가 등’

보고서는 “기술과 산업 상황이 변하면서 새로운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이 발생하게 된다”며 “세부 직무로 전문화, 기술 발전에 따라 세부 기술들로 분화, 산업의 가치사슬 확장, 기술의 적용 분야 확장” 등을 ‘신직업 발생 메커니즘’으로 지목했다.

보고서는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은 공공수요기반형과 민간수요기반형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다”며 “공공수요기반형 신직업은 주로 공공 R&D(연구개발)를 지원하는 전문 서비스직으로 구성되며, 정부 지원에 맞춰 발전하는 특징이 있다. 민간수요기반형 신직업은 직업 간 활성화 수준의 차이가 크고, 향후 인력의 수요·공급 수준도 유동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에 대한 진입장벽(기술적 역량과 전문성)이 높을수록 단기간에 신직업 인력을 대규모로 육성하는 것이 어렵다”며 “(현재 문제점으로는)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그저 관심이 증가하는 특정 기술 분야에 개발자·전문가 등을 붙여 신직업으로 선정하고 있어 신직업의 기준과 범위가 임의적이고 모호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효과적인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육성 방안’으로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기준 명확화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단계별 지원·육성책 마련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발굴 및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선정 기준’으로 ▲전문성(해당 직무 수행을 위해 과학기술 전문지식이나 관련 학위 등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해야) ▲업무 독립성(직무 내용·범위의 구체화, 직무 독립성에서 기존 직무와의 차별성이 명확하게) ▲일자리 창출 기여도(신직업 지정으로 직무 전문화가 이뤄지거나 생산성 제고가 기대돼 궁극적으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직무)를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