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3.9%, 내년은 코로나 발생 이전 수준인 2.9%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22일 발표한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1년 4/4분기'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팬데믹이 장기화되고 경기회복세 역시 약화됨에 따라 올해 경제성장률은 4%대에 못 미치는 3.9%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기저효과가 점차 사라지고, 중국 경기둔화로 수출 성장세가 약화됨에 따라 2%대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장기간 쌓여온 경제 여건의 부실화와 정책적 지원 여력 감소로 3%대 성장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코로나 확진세 심화에 대한 수습 여부가 내년 상반기 성장 흐름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고 봤다.
내수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 소비의 내년 성장률은 3.1%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일시적 반등을 보였던 민간 소비는 확진자 급증에 따라 재(再)위축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경연은 금리인상으로 가중된 가계부채원리금 상환 부담, 전·월세 폭등에 따른 집세 인상 등의 구조적 원인 역시 민간 소비 회복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설비 투자는 반도체 부문과 신성장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가 이뤄지며 2.7%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의 부동산 억제 정책에 따라 부진을 지속해 온 건설 투자는 정부 주도의 건물 건설이 증가하고 SOC 투자 확대에 따른 토목 실적의 개선에 힘입어 올해 -0.5%에서 내년 +2.5%로 플러스 성장세로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거주비 상승세 지속에도 불구하고 국제 원자재 가격이 내년 상반기 중 안정을 찾게 됨에 따라 1.9%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경제 성장을 이끌었던 실질 수출도 올해 높았던 실적에 대한 역(逆)기저효과와 중국의 성장세 둔화에 따라 내년엔 2.5%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 봤다. 코로나 확진자 급등에 따른 고강도 방역 조치의 재시행에 따른 생산 차질이 장기화될 경우 수출 증가세가 약화될 가능성도 점쳤다.
경상 수지는 수출 증가폭을 뛰어 넘어 빠르게 수입이 늘고, 서비스 수지의 개선세가 약화되면서 772억 달러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