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jpg)
코로나 확산으로 내수와 수출 모두 부진하며 내년 1월 경기전망이 5개월 만에 하향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28일 발표한 '1월 전망 기업경기동향조사'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조사한 결과, 1월 BSI 전망치는 96.5를 기록했다. 최근 국내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서, 지난 8월 전망(95.2) 이후 5개월 만에 100선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100 미만의 BSI 전망치는 경기전망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문별 1월 BSI 전망치는 내수(94.6)와 수출(98.4) 모두 부진해 기업들의 대내외 경기전망이 모두 좋지 않았다. 한경연은 내수 부진의 원인으로 정부의 방역조치 강화로 인한 민간 소비심리 위축을. 수출 부진의 원인으로 해상 운임 급등으로 인한 수출 비용 증가를 꼽았다.
투자(103.3)와 고용(106.0)을 제외한 자금사정(96.7), 채산성(92.9), 재고(104.1) 등 전 부문에서 부정적 전망이 나왔다. 재고의 경우 100을 초과할 경우 재고 과잉 상태를 의미한다. 특히, 원자재가(價) 급등과 항만 적체의 영향으로 채산성과 재고 부문 전망이 올해 조사기간 중 가장 좋지 않았다.
1월 BSI 전망치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 94.2, 비제조업 99.4를 기록해 산업 전 분야에 걸쳐 기업심리가 위축됐다. 제조업의 경우 특히, 자동차 및 기타운송장비(88.6), 금속 및 금속가공 제품(85.3), 비금속 소재 및 제품(86.7) 등 자동차 업종 및 주요 후방산업이 80선 대로 하락했다. 한경연은 반도체 수급 차질 장기화로 완성차 제조기업의 생산·판매량이 감소한 것이 타이어, 1차금속 등 중간재 업종에도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비제조업의 경우 여가·숙박 및 외식(83.3), 도·소매(92.7) 등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외부활동 감소의 영향이 큰 산업들의 전망이 어두웠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전세계적으로 신종 변이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국내외 경기회복 둔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코로나 확산세를 조기에 차단하는 한편, 기업의 원자재 수급 안정 등을 통해 경제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