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11월 26일 오전 경기도 김포시의 한 금속회사에서 근로자들이 작업하고 있다. 사진=조선일보DB

최근 발표된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22년도 중소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들은 우리나라 경제 위기 회복 시점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22년도 경영 활동 또한 작년의 ‘기저 효과’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전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경제는 V자 반등에 성공했지만 불확실성이 증대됐다”며 “물가 상승과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 등으로 경영 활동의 리스크가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2022년도 국내 경제는 수출 증가율이 감소하며 성장세가 주춤해질 전망”이라며 “중소 제조업은 코로나19 충격이 장기화되고 중소 서비스업은 상승 폭이 확대될 것이다. 중소기업 수출 증가세는 둔화될 것으로 보이며 취업자 수는 소폭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중소기업의 78.6%는 우리나라 경제가 위기라고 응답했다. 64.0%는 우리나라 경제가 당분간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했다”며 “2022년도 경영 활동 전망은 2021년과 비슷하며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중소기업은 2022년도 경영 계획 수립 시 가장 우려하는 점으로 ‘판매 원가 상승(59.0%)’과 ‘인력 수급 곤란(35.0%)’을 제시했다”며 “중소기업은 향후 5년간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대·중소기업 간 격차 해소(38.8%)’와 ‘우수 인력 확보 및 유지(36.6%)’를 꼽았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방역 조치 강화로 대면 서비스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며 “방역 조치에 협조한 소상공인에 대한 손실 보상 시그널을 명확히할 필요가 있다. 소비 쿠폰 지급과 지역 화폐 발행 등을 통한 내수 진작 정책을 지속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각국 무역 분쟁과 자국 중심주의 확산으로 수출 성장세가 둔화될 우려가 있다”며 “수출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 제공 및 법률 자문 강화, 주요 소재·부품의 공급망 다변화와 국산화 추진, CPTPP 가입 등을 통한 교역 시장 확대”를 주문했다.

보고서는 “금융 지원 조치 종료와 기준 금리 추가 인상에 따른 대출 상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며 “고용 창출, R&D 투자 증가 등 소기의 정책 목적 달성 시 채무 상환을 면제하는 대출 프로그램을 신설해야 한다.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재연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생산 원가 상승 및 인력난에 따른 제조업 부진이 심화될 수 있다”며 “납품 단가 현실화를 위해 원자재 가격 변화에 따른 연동제 도입, 청년 인력의 중소기업 유입 촉진을 위한 고졸 취업 활성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