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발표된 국제금융센터 〈러시아 국채 디폴트 가능성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의 ‘대(對)러 경제 제재’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가 ‘기술적 디폴트’(채무불이행·특정 국가가 외국에서 빌려온 돈을 계약된 상환 기간 안에 갚지 못해 부도에 이르는 상황을 지칭)를 맞게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보고서는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서방 국가들의 강력한 제재를 받게 됨에 따라 러시아 정부의 디폴트 가능성 및 금융 시스템 리스크 확대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고 있다”며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S&P, Moody’s, Fitch는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각각 CCC-, Ca, B로 강등하며 러시아 경제 제재 및 자본 통제에 따른 디폴트 임박 위험을 반영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3월 말까지 러시아 외화 국채 이자(3/16일, 21일, 28일) 7.3억 달러의 지급일이 도래함에 따라, 러시아가 정상적인 상환을 할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며 “달러화 국채 이자 7.3억 달러가 3월 중 지급일이 도래하고, 4월에는 원금 20억 달러, 이자 1.3억 달러가 도래할 예정이다. 루블화 국채(OFZ)는 3월 6.9억 달러, 4월 11.2억 달러 등이 이자 지급일에 도래할 예정”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Allianz, Blackrock, Capital Group 등이 러시아 국채 보유 비중이 높은 운용사들인 것으로 파악되며, 글로벌 국부 펀드들도 러시아 달러 국채에 익스포져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향후 디폴트를 결정할 주요 변수는 △러 정부의 외화 유동성 가용 수준 △부채 상환 의지 △현 제재 하의 기술적-시스템적 송금 가능 여부 등이 될 것이며, 아직까지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러 정부가 국채 이자를 상환하더라도 각종 제재 등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반출이 불가할 경우 ‘기술적 디폴트’가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과거 1998년과 같이 러시아의 채무불이행이 재차 현실화되면 금융시장에 큰 파장을 초래할 소지가 있다”며 “러시아 국채의 디폴트 여부를 확실히 알게 되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이나, 광범위한 자본 통제가 이어질 경우 조만간 ‘기술적 디폴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