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발표된 산업연구원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기준금리가 연내 3회 이상 인상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제조산업에 미치는 부작용이 제기됐다. 각 기업들의 이자보상배율(이자보상비율)이 하락함에 따라, 일명 '좀비기업'으로 불리는 한계기업이 속출할 가능성이 지적된 것이다.
여기서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이거나, 영업활동 현금 흐름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는 기업을 뜻한다. 《시사상식사전》에 따르면,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금융 비용(이자 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 다시 말해 회사가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할 수 있는가, 감당한 후 얼마나 여유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지표다.
즉,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나면 재무 상황이 열악한 기업들의 이자보상비율이 낮아지고 극단적으로는 '한계기업화(化)'가 될 수 있다는 소리다.
보고서는 "높은 물가 상승 압력과 미국 금리 인상의 파급효과로 한국 기준금리는 연내 3회 이상 인상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한국의 금융시장은 은행 중심(Bank-based)으로 자금시장에서 간접금융이 큰 부분을 차지한다. 실제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자금 조달 수단이 적어 간접금융에 크게 의존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통화정책 변화 시 중소기업의 대출금리 변화가 대기업의 대출금리 변화보다 민감하다"며 "통화정책 변화의 중소기업으로의 전가가 대기업으로의 전가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장/단기적으로 금리 상승에 의한 중소기업의 이자 부담이 대기업보다 큰 폭으로 증가할 수 있다"며 "낮은 유동성, 높은 인플레이션, 부정적 기업 체감 상황, 과도한 기업 대출 증가로 자금시장 위험도 증가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산업은 기준금리 상승 이후 이자보상배율이 크게 하락하고, 산업 내 한계기업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섬유, 펄프 및 종이, 금속가공, 기타 제품 등의 경우 중소기업 비중과 산업 내 한계기업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산업에 미치는 기준금리 상승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제적 정책이 필요하다"며 "장/단기적으로 산업의 완만한 구조조정을 위해 한계기업을 대상으로 한 선별적 지원정책, 자금 조달의 직접금융 비중을 늘리기 위한 채권시장 활성화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