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YTN 사이언스 캡처

최근 발간된 하나금융연구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업들의 슬기로운 환경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들이 온전히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한시적 규제 완화보다는 친환경 활동을 판별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보고서는 "최근 전 세계가 기후위기에 직면하자 국내외 기업들은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탄소 다(多)배출 소재 저감, 재생에너지원 전환, 사업구조 전환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기후변화 위기의 주범으로 지목된 기업들은 결자해지(結者解之)를 위해 자발적으로 탄소 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탄소발자국 지우기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쉽게 접근 가능한 대응 방안으로, 탄소 다(多)배출 소재 감축에서 순환경제, 친환경 소재로의 전환으로 탄소 배출 관리 고도화가 떠오르고 있다"며 "생산에 사용되는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원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있으나, 각국 여건에 따라 전환 난이도 및 속도에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한국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수준은 부문별 속도 차가 존재하나 글로벌 대비 열위에 있다"며 "단, 한국 기업들은 자체 역량으로 대응이 가능한 탄소 다배출 소재 전환, 친환경 공정 및 사업 전환 부문에서는 글로벌 상위 기업 수준을 따라가고 있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한국 기업이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전환과 공급망 전반의 탄소 배출량 관리를 위한 정책 개선 및 지원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며 "기업의 원활한 재생에너지 조달을 위해 경직된 국내 전력 공급 및 운영 체계를 검토, 개편해 PPA(전력구매계약) 활성화 등과 같은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그린워싱 논란과 관련, 기업의 친환경 활동은 실행 과정에서 시행착오가 불가피하나, 친환경 의도가 분명하다면 합리적 요구를 통해 기업의 개선을 촉구할 필요가 있다"며 "신정부 출범으로 기업에 대한 환경 규제 완화 가능성이 존재하나,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한시적 규제 완화보다는 친환경 활동을 판별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