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발간된 국제금융센터 '최근 신흥국 통화정책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복합적 경제 악재로 신흥국 경기가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보고서는 "지난해 경기 회복과 함께 다수 신흥국들이 통화정책 정상화 행렬에 동참했다. 현재까지 주요 신흥국 중 약 64%가 정책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며 "중남미의 경우 코로나19 이후 유동성 증가와 공급망 차질로 인한 고물가, 미 테이퍼링 논의에 따른 환율 불안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작년 초부터 상당 폭의 금리 인상을 지속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러시아(자본 유출 방지)와 인근 동유럽 국가들(인플레 억제)의 통화 긴축이 본격화하고 있다. 중동과 아프리카는 금년 들어 일부 긴축 기조로 전환했다"며 "터키는 네 차례 금리 인하로 완화 기조에 들어섰다. 아시아는 아직까지 물가보다 팬데믹 이후 경기 회복에 무게를 두고 통화 정책 정상화에 신중한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미국이 고강도 통화 긴축을 예고하고 우크라 사태발 인플레이션 압력이 고조되고 있는 만큼, 아시아를 비롯해 신흥국 전반으로 통화 정책 정상화가 확대될 전망"이라며 "러-우크라 전쟁 및 중국 코로나19 재확산 등의 여파로 성장세 둔화가 불가피한데다, 공급 측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되면서 워세션(war-cession)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중남미·동유럽을 중심으로 2분기 추가 금리 인상이 집중되고, 하반기 물가 고점 통과와 함께 인상 폭 역시 축소될 전망"이라며 "아시아도 2~3분기 중 점진적 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며, 긴축 전환 시점이 늦은 만큼 종료 시점은 다소 길어질 소지가 있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신흥국의 경우 대내외 복합 위기로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진 상황에서 통화 긴축 강도가 예상보다 강화될 경우 경기 냉각, 부채 부실화 등 부작용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우크라 사태 장기화 → 인플레 압력 가중 → 선진국 통화 긴축 강화 → 달러화 유동성 축소 → 신흥국 통화 가치 절하 및 자금 유출 등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신흥국들이 금리 인상 등 긴축 행렬을 이어가고 있다"며 "금리 상승으로 소비·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부채상환 부담이 커지는 등의 악순환이 우려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