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달 10일 공식 출범할 윤석열 정부가 그간 문(文) 정권에서 경색됐던 한일(韓日) 관계를 회복시킬 것임을 공약한 가운데, 국내 기업들도 동일한 시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 이하 대한상의)가 최근 국내 기업 327개사를 대상으로 '새 정부 출범 후 한일 관계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45.3%가 ‘한일 관계가 개선될 것이다’라고 답했다. ‘변화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44.0%, ‘나빠질 것’이란 응답은 10.7%였다.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절반인 50.4%는 한일 관계 개선 시 ‘교역 및 투자를 늘리겠다’고 답했다. 특히 현재 일본과 교역 중인 기업(115개사)의 69.5%가 ‘한일 관계 개선 시 투자를 늘릴 것’이라고 답했다.
한일 관계에서 가장 시급한 이슈로는 ‘수출 규제 등 양국 간 무역 마찰 해소’(39.4%)가 가장 많이 지목됐다. 이어 ‘정상 회담 등 탑 외교 재개’(30.3%), ‘경제, 문화 등 민간 교류 확대’(17.1%), ‘쿼드, CPTPP 등 협의체 가입 이슈’(5.5%), ‘한일 통화스와프 재개’(2.8%) 순이었다.
양국 관계의 가장 큰 걸림돌로는 우선 ‘과거사 문제’(57.2%)가 꼽혔고, 그 뒤로 ‘국민 인식 악화’(14.1%), ‘무역 분쟁’(13.5%), ‘영토 분쟁’(11.0%), ‘코로나 등 대외 여건 악화’(2.1%) 등이었다.
자동차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중견기업 A사는 “중견기업으로서 고객 다변화가 매우 절실한 시점인데, 한일 관계 악화로 인해 일본 측 거래처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다”며 “한일 관계 회복은 일부 기업에는 생존의 문제”라고 토로했다.
LED 제조 장비 등을 생산하는 중소제조업체 B사는 “일본 유통 채널을 통해 어렵게 현지에 진출했으나,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일본의 매출이 현저히 낮은 상황”이라며 “한일 관계 개선을 통해 일본 판매도 늘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한일 협력 분야를 묻는 질문에는 ‘반도체 등 공급망 재편에 따른 협력’(48.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청년 취업 등 인적 교류 활성화’(19.0%), ‘미세먼지, 해양오염 등 국제 환경 문제 공동 대응’(16.8%), ‘디지털 전환’(9.8%), ‘탄소 중립 대응’(6.1%) 순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