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9월 18일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내외가 삼지연 관현악단 환영 예술 공연을 보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사진=조선일보DB

지난 27일 남북 연락선이 13개월 만에 복원된 가운데, 대한민국과 북한의 관계 설정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지 이목이 모이고 있다.

남북 교류 활성화와 한반도 평화 구축을 국정 목표로 삼은 문재인 정부가 이번 연락선 재개를 계기로 남북 대화 및 고위급·정상 회담을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임기 말에 접어든 정부가 마지막 대북 치적(治績)을 남기기 위해 집중적으로 회담 모색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현 정부가 계승했다고 주장하는 지난 참여정부 당시 노무현 대통령도 임기 말인 2007년 육로방북(陸路訪北)이라는 대북 이벤트를 통해 북한 김정일과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 시국임을 감안해 현 정부와 북한이 ‘원격 화상 회담’을 추진할 수 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월 11일 신년사에서 “언제든, 어디서든 만나고 비대면 방식으로도 대화할 수 있다는 우리의 의지는 변함이 없다”고 말한 바 있다. 현재 통일부 산하 남북회담본부에는 영상회의시스템이 조성돼 있다. 통일부는 지난 4월 해당 본부에서 화상 회담 시연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만일 앞으로 남북 정상 양자(兩者) 회담이 현 정부 임기 내에 추진된다면, 지난 2018년 판문점 1·2차와 평양 3차에 이어 제4차 남북정상회담이 된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8일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남북정상회담 추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그렇게 되면 좋겠다. 합의가 가능한 징검다리를 놓아 가겠다”며 “남북정상회담도 하나의 징검다리”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최근 정상회담을 비롯, 이산가족 상봉과 군사합의 이행 등 대북 소통·협력 방안들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상회담의 경우, 먼저 남북 고위급 인사들 간 회담을 거쳐 점진적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현 정부가 ‘대한민국, 미국, 중국, 북한’이 모두 만나는 4자 국제회담까지 추진할 수 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은 “남북 간 소통이 다시는 중단되지 않고, 복원된 통신 연락선을 통해 남북 간 다양한 현안을 논의하고 합의 사항들을 실천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은 28일 3명의 한국 정부 소식통을 인용, “남북이 관계 회복을 위해 정상회담을 개최를 두고 협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 소식통은 이 매체에 “현재 대화가 계속 진행 중이지만 코로나19가 중요한 변수”라며 “대면 정상회담이 가장 좋기 때문에 상황이 나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다른 소식통은 “북한이 코로나19로 대면 정상회담에 난색을 표하면, 원격 정상회담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회담 시기나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현재 남북 당국은 작년 북한에 의해 파괴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재건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 27일 연락선 재개 관련 브리핑 후 기자들과의 서면 질의응답에서 “양 정상 간 대면 접촉 협의, 화상 정상회담 논의는 없었다”고 말한 바 있다. 이번 연락선 복원의 구체적 내용을 묻는 질문에는 “통일부와 군에서 운영하던 남북 통신선 등이 복원되는 것”이라고 답했고, ‘남북 정상 간 핫라인 통화는 협의한 사실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핫라인 통화는 차차 논의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