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온라인쇼핑몰(전자상거래) 이용자가 가장 많이 구매한 품목은 ‘식품’이었고 회당 쇼핑 금액은 평균 6만6500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는 전자상거래 이용 소비자 2000명을 대상으로 구매 품목, 쇼핑 주기 및 플랫폼 등 이용현 황과 피해 유형 등을 조사한 ‘2023년 전자상거래 이용실태 및 소비자 피해분석’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온라인으로 가장 많이 구매한 품목은 올해 처음으로 식품이 65.5%를 기록하며 의류·패션용품(58.5%)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생활용품 46.7% △화장품 19.9% △농수산물 17.9% 순이었다.
시는 “그간 식품은 슈퍼마켓·대형마트 등 오프라인에서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 주요 통신판매중개몰(오픈마켓)과 식품전문몰에 배달앱까지 당일·새벽 등 빠른 배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소비자 구매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1회 평균 쇼핑 금액은 6만6500원으로 ▲남성 6만8900원 ▲여성 6만5200원이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6만9400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6만8100원으로 뒤를 이었다. 쇼핑 횟수를 살펴보면 주 2회 이상 온라인쇼핑을 한다는 답변이 34.3%로 가장 많았다.
쇼핑 방법은 포털·가격비교사이트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을 검색 후 최저가 쇼핑몰에서 구매(46.5%)하거나 월정액 회비 등을 지불한 유료 멤버십 쇼핑몰에서 구매(24.3%)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2명 중 1명(48.1%)은 특정 쇼핑몰 모바일앱으로 구매한다고 답했다.
주로 이용하는 쇼핑몰 유형은 오픈마켓이 89.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배달앱(87.8%) △종합몰(76.9%) △전문몰(62.2%) △여행플랫폼(OTA‧58.4%) 순이었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배달앱·전문몰·여행플랫폼(OTA)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온라인쇼핑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결제 편리성 및 안정성(81.2%) △가격(79.5%) △배송 안정성 및 배송비 적정성(76.5%)은 만족하다고 답했다. 반면 △개인정보보호(47.6%) △고객센터 상담처리(53.9%) △판매자 및 제품정보 표시(56.7%)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편이었다.
시는 이날 지난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피해상담 분석 결과’도 함께 발표했다. 지난해 접수된 상담은 총 6460건으로 2022년 8,723건 대비 26% 감소했으나 ‘사기·편취피해(1149건‧2.7배)’와 ‘예매‧예약서비스 피해(364건‧2.4배)’는 크게 증가했다.
피해 유형은 ‘계약취소·반품·환불지연’이 2218건(34.3%)으로 가장 많았고 ‘사기·편취(1149건‧17.8%)’, ‘배송지연(1049건‧16.2%)’이 뒤를 이었다.
시는 “특히 전년 대비 2.7배 급증한 ‘사기·편취’ 피해는 소비자들의 주 구매 패턴인 가격 비교를 악용해 오픈마켓에 최저가로 상품을 등록하고 소비자를 유인해 재고 부족 등을 이유로 사기 사이트에서 결제하도록 하는 수법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피해 품목은 ‘의류’가 1505건(23.3%)으로 가장 많았고 △신발·가방·패션잡화·귀금속(1080건‧16.7%) △레저·문화·아이돌굿즈(879건‧13.6%) △가전용품(569건‧8.8%) △예매·예약서비스( 364건‧5.6%)‘ 순이었다.
김경미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은 “지난 한 해 온라인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국내 주요 호스팅 사와 협력해 모니터링 및 사이트 차단 조치를 강화했다”며 “소비자 피해 및 분쟁사례가 증가한 품목은 유관기관 및 온라인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소비자 보호에 힘쓰겠다”고 전했다. 글=김성재 아카이브뉴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