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홍성군 홍성역에서 ▲서해선(홍성~서화성) ▲장항선(신창~홍성) ▲포승~평택선(안중~평택) 서해안 권역 3개 철도사업 개통식과 함께 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해선은 홍성역에서 경기도 서화성역을 잇는 연장 90.0km의 신설 노선이다. 총사업비는 4조1217억원이다.

우선 홍성역에서 서화성역까지 ITX-마음을 하루 왕복 8회 운행하며 소요 시간은 약 1시간이다. 오는 2026년 3월 신안산선 서화성~원시 구간이 개통되면 홍성역에서 고양 대곡역 구간에는 시속 250km급 KTX-이음을 투입할 계획이다. 신안산선 개통 전까지는 서화성역에서 안산 초지역까지 열차 운행 시간과 연동해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서해선에는 아산과 평택을 연결하는 길이 5.9km의 아산고가교가 설치됐다. 이 중 ‘아산고가 아치교’는 연장 625m, 높이 44m로 국내 최장‧최대 규모다.

서화성역과 안중역에 화물을 적치하는 컨테이너 야드(CY)를 조성해 컨테이너 수송 열차를 하루 왕복 2회(서화성~부산신항‧부산진), 철강 수송 열차를 하루 왕복 1회(평택 안중~울산 용암) 운행한다.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을 잇는 연장 154.4km의 노선이다. 1930년에 단선 비전철로 최초 건설된 이후 디젤 열차를 운행해 왔으나 단계적으로 복선전철화되면서 더욱 쾌적하고 안전한 철도로 탈바꿈한다.

지난 2008년 천안~신창(아산) 구간이 복선전철화됐고 이번에 신창(아산)~홍성 복선전철 구간(36.35km‧총사업비 2467억원)을 개통한다. 기존에 운행되던 무궁화호, 새마을호 열차에 더해 ITX-마음이 하루 2회 증편되면서 용산~홍성 구간의 하루 운행 횟수는 총 30회로 늘어난다.

2027년 말 홍성~대야(군산) 구간(82.28km)도 개통되면 장항선과 서해선이 하나의 복선전철 노선으로 연결돼, 전라북도 익산부터 충청남도와 수도권으로 이어지는 완전한 서해안 철도교통망이 완성된다.

평택선은 평택항과 배후 물류단지의 급등하는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 추진됐다. 경부선 평택역과 서해선 안중역을 연결해 경부축에 집중된 화물 물동량을 분산하고 평택시 동서부를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지난 2015년 1단계 구간 숙성~평택(13.4km)이 개통한 데 이어 이번에 2단계 안중~숙성(9.4㎞‧총사업비 1503억원) 구간을 새로 건설하면서 비전철 구간이었던 1단계 구간을 포함한 전체 구간(22.8km)을 전철화했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서해안권역 3개 사업을 시작으로 신안산선 복선전철, 장항선, 포승~평택선 3단계 등이 차례로 개통되면 서해안 축 철도망이 완성돼 서해안 권역이 명실상부 대한민국 성장을 이끄는 거점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정부, 지자체, 관련기관 등 모두가 힘을 모아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