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동렬 자유민주연구원장. 사진=유튜브 캡처

간첩·좌익세력 전문가인 유동렬 자유민주연구원장이 청주 간첩혐의단 '자주통일 충북동지회'와 관련해 "충북 지역에 제2, 제3의 간첩 연계망이 존재할 것으로 보이며 북한 정권과 연계된 전국 규모의 지하당 조직도 존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충북동지회에 간첩 지령을 보낸 북한 문화교류국에 대해 "편제상 통일전선부 산하에 있지만 김정은 지시를 직접 받는 조직"이라며 "북한의 가장 오래된 대남 간첩 공작 조직"이라고 강조했다.

12일 유 원장은 유튜브 채널 '유동렬의 안보전선'에서 '충북동지회'의 배후인 북한의 대남 공작 부서 '문화교류국'에 대해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유 원장은 이날 '[단독] 청주간첩단 배후 조직, 북한 문화교류국 해부 - 청주 지역 간첩단 실체'란 제목의 유튜브 영상에서 "청주 간첩단 사건의 상급 조직인 북한 문화교류국에 대해 일부 언론에서 단편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사실에 부합하지 않거나 잘못 해석하고 있다"며 "북한의 대남 간첩 공작을 오랜 시간 전문적으로 연구해 온 사람으로서 권위를 가지고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고 했다.

'충북동지회'의 배후, 北 '문화교류국'은 김정은 직계 부서

유 원장은 먼저 북한의 대남 간첩 조직 구성에 관해서 설명했다. 북한의 대남 간첩 조직에는 대표적으로 국무위원회 산하 '정찰총국'과 조선노동당 산하 '통일전선부'가 있다. 유 원장은 "문화교류국은 편제상 통일전선부 산하에 있지만 실제로는 김정은의 지시를 직접 받는 조직으로 북한에서 가장 오래된 대남 간첩 공작 조직"이라고 설명했다.

유 원장에 따르면 1945년 해방 후 북한 '조선노동당'의 전신인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이 설립됐다. 그 안에 문화교류국의 전신인 '사회부'가 있었는데, 대남 간첩 공작을 전문으로 하는 부서였다. 이어 북한 정권이 수립된 후 1948년 10월 노동당 안에 '문화부'라는 부서가 생기고 대남 간첩 공작을 맡게 된다. 1949년 6월 사회부 명칭이 '연락부'로 바뀐 후 1974년 5월 문화부와 연락부가 통합되면서 '문화연락부'로 변경됐다. 1975년 9월부터는 부서명을 '연락부'로 줄인 뒤 13년간 그 이름을 유지했다. 이어 1988년 11월에 부서명을 '사회문화부로' 바꾸고, 1997년 1월 '대외연락부'로 다시 바꾼다. 

대외연락부는 2009년 2월 25일 김정일에 의해 '부'(우리 기준으로 하면 장관급 부서)에서 '국'으로 강등되며 '225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당시 김정일은 김일성(1912년생)이 태어난 지 100주년이 다가오는데 대남 간첩 조직이 아직도 적화 통일을 못 이뤘다며 부서 강등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 강등 지시일(2월 25일)의 숫자를 따서 225국으로 명명했다고 유 원장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인민군 내에 정찰총국이 신설되고 대남 간첩 공작을 주도한다. 이어 2015년 8월, 225국은 명칭을 '문화교류국'으로 변경, 현재까지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문화교류국의 주요 임무는 과연 뭘까. 유 원장에 따르면, 문화교류국의 첫 번째 임무는 '직파 간첩의 남파'다. 문화교류국은 육상이나 해상으로 간첩을 내려보내거나, 2000년대부터는 동남아 등 제3국을 우회해 간첩을 국내 침투시켜왔다. 국내에서 포섭된 간첩들을 중국, 동남아 등으로 불러서 해외에서 간첩 공작을 벌이기도 했다. 유 원장은 "충북동지회의 경우도 2017년 중국 베이징, 2018년 캄보디아 프놈펜, 2019년 중국 선양에서 225국 해외 공작원들과 접촉했다"고 말했다.

문화교류국의 두 번째 임무는 '지하당 구축 및 동조 세력 포섭'이다. 북한 조선노동당이 상급당이 되고, 노동당의 지휘를 받는 지하당을 국내에 구축하는 것이다. 유 원장은 "이번 청주 간첩단은 원래 명칭은 조선노동당 '자주통일 충북 지역당'이었다"며 "충북 지역당뿐 아니라 다른 지역당들도 존재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 원장은 "그 실례로 1970년대 통일혁명당 사건 당시 간첩 조직을 보니 전국 시도 구군까지 하위 단위 당이 건설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충북동지회 말고도 지역 내 제2의, 제3의 간첩 연계망 있을 것"

또한 유 원장은 "이번에 적발된 충북동지회 말고도 지역 내 제2의, 제3의 간첩 연계망이 있을 것"이라며 "이게 '단선연계 복선포치'(單線連繫 複線布置)라는 간첩 조직 운영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문화교류국의 세 번째 임무는 '각종 기밀의 탐지 및 수집'이다. 유 원장은 "기존엔 간첩들이 국내에 침투해 각종 기밀을 탐지, 수집했다면 2000년대부터는 현실 공간뿐만 아니라 사이버 공간에서 해킹을 통해 정보를 탈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화 교류국의 네 번째 임무는 '테러와 납치'이다.

유 원장은 "충북동지회가 통상 알려진 것처럼 2015년에 만들어진 7년 된 조직이 아니라 2000년대 초반부터 활동해 온 20년의 역사를 가진 조직"이라고 분석했다. 그 근거로 충북동지회 관련자 집에서 압수수색한 USB 내 자료를 근거로 들었다. 해당 자료 중 2019년 11월 4일 북한이 내린 지령문의 한 대목이다.

〈박 고문은 15년 전 1차 지도부 조직을 꾸리던 첫 시기에 상급 동지가 들려주신 우리 장군님을 회고하는 눈물겨운 말씀을 상기하여 들려주었다.〉  

그는 "박 고문은 청주 간첩단의 총책"이라며 "2019년 지령문에서 15년 전 1차 지도부 조직을 꾸렸다고 하니 2004년부터 북한과 연계돼 지하 지도부를 꾸렸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 원장은 "우리 대공 수사관들이 고생해서 적발한 이번 청주 간첩단 사건을 두고 소리만 요란하지 실속이 없다고 아주 폄하하는 기사들이 몇 군데 매체에서 나왔다"며 "이는 현실을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지적했다.

그는 "첩보 영화를 많이 봐서 통상 간첩하면 수류탄, 권총, 독침, 무전기 등이 나오고 다리나 시설을 폭파하고 테러하는 것을 연상한다"면서 "문화교류국의 임무는 전면적인 적화 통일을 하기 위한 무장 봉기를 일으키기 전까지 그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지하에서 은밀하게 활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원장은 "2015년경부터 수사에 돌입해 6년 동안 고생하며 어렵게 간첩 조직을 검거했는데 박수는 못 쳐줄망정 비아냥거린다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음지에서 스파이 전쟁을 벌이는 우리 대공 수사관들을 모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